시작에 앞서,
제가 글을 쓰다보니, 글을 반말로 썼더군요.ㅠㅠ
불편하시더래도, 이번글을 그냥 짧은글(?) , 반말을 사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얼마전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다. 안드로이드와 프로세싱이 서로 어울어져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내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해외에서는 실제로 많은 이슈가 되는 모양이다.
두번째 영상은 openGL 샘플영상
영상에도 보았듯이 상당히 멋지다 ㅋ
이런 모든 작업들이 processing Api덕분에 100줄도 안되는 코드로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export를 하여 추가적으로 android 코드로 컨버팅된다면 어마어마한 양의 코드를 확인 할 수 있을것이다.
자 이제 먼저 processing을 다운로드 받아보자
- 윈도우 환경 : 다운로드
- 맥 환경 : 다운로드
-리눅스 환경 : 다운로드
다양한 환경이 존재하지만, 윈도우 환경을 기반으로 설명하겠다.
processing 또한 마찮가지로, 무설치 버전이기 때문에 android 작업하는 공간에 추가적으로 폴더를 하나 추가 하여 작업공간에 넣어놓은다
그리고 실행에 앞서 PC에 AVR MANAGER를 통해 processing에 필요한 플러그인들이 모두 설치되어있는 지 확인한다
Instruction에 보면 API7을 설치하라고 나와있지만,
0410일자로 나온 Processing 0915버전에서는 실제로 API8버전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니 윗글에 신경쓰지말과
API8버전을 설치하도록 한다.
위에 이미지에서 API 7버전에서 8버전으로 설치만 해주면 된다
설치를 완료하였으면 이제 프로세싱을 실행해보자.
제가 글을 쓰다보니, 글을 반말로 썼더군요.ㅠㅠ
불편하시더래도, 이번글을 그냥 짧은글(?) , 반말을 사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얼마전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다. 안드로이드와 프로세싱이 서로 어울어져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내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해외에서는 실제로 많은 이슈가 되는 모양이다.
Java기반의 프로세싱과 안드로이드가 서로 함께 사용이되다보니, 호환성 면에서나 사용편의면에서또한 정말 편리하다. 특히 이번 2011-04-10일자로 새롭게 업데이트 되어 api7버전(2.1)환경에 최적화되어 사용이 가능하게되었다
그래서 간단하게 나마 사용법에대해 이렇게 블로깅을 하게 되었다.
먼저 기존 홈페이지 : http://android.processing.org가 위키로 이동이 되었다.
변경된 홈페이지 : http://wiki.processing.org/w/Android 덕분에 저페이지 하나면 소개를 시작으로 다운로드 및 샘플 소스까지 모두 볼 수 있게 편리하게 정리되어있다.
먼저 이번 블로깅은 새롭게 도입된 안드로이드환경에서 Processing사용이기때문에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Processing을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글을 써나가겠다.
(안드로이드 설치및 환경설정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
시작하기 전에 간단하게 example 소스를 사용하여 실제 안드로이드 프로세싱 API모듈을 돌려보았다.
첫번째 영상은 애니매이션 샘플 영상
먼저 기존 홈페이지 : http://android.processing.org가 위키로 이동이 되었다.
변경된 홈페이지 : http://wiki.processing.org/w/Android 덕분에 저페이지 하나면 소개를 시작으로 다운로드 및 샘플 소스까지 모두 볼 수 있게 편리하게 정리되어있다.
먼저 이번 블로깅은 새롭게 도입된 안드로이드환경에서 Processing사용이기때문에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Processing을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글을 써나가겠다.
(안드로이드 설치및 환경설정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
시작하기 전에 간단하게 example 소스를 사용하여 실제 안드로이드 프로세싱 API모듈을 돌려보았다.
첫번째 영상은 애니매이션 샘플 영상
두번째 영상은 openGL 샘플영상
영상에도 보았듯이 상당히 멋지다 ㅋ
이런 모든 작업들이 processing Api덕분에 100줄도 안되는 코드로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export를 하여 추가적으로 android 코드로 컨버팅된다면 어마어마한 양의 코드를 확인 할 수 있을것이다.
자 이제 먼저 processing을 다운로드 받아보자
- 윈도우 환경 : 다운로드
- 맥 환경 : 다운로드
-리눅스 환경 : 다운로드
다양한 환경이 존재하지만, 윈도우 환경을 기반으로 설명하겠다.
processing 또한 마찮가지로, 무설치 버전이기 때문에 android 작업하는 공간에 추가적으로 폴더를 하나 추가 하여 작업공간에 넣어놓은다
그리고 실행에 앞서 PC에 AVR MANAGER를 통해 processing에 필요한 플러그인들이 모두 설치되어있는 지 확인한다
Instruction에 보면 API7을 설치하라고 나와있지만,
0410일자로 나온 Processing 0915버전에서는 실제로 API8버전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니 윗글에 신경쓰지말과
API8버전을 설치하도록 한다.
위에 이미지에서 API 7버전에서 8버전으로 설치만 해주면 된다
설치를 완료하였으면 이제 프로세싱을 실행해보자.
실행하면 상단 툴바 오른쪽에 [STANDARD]라고 표시된다. 이것을 안드로이드 모드로 바꿔줘야한다
그래서 [STANDARD]를 클릭해보자. 그러면 그 아래 이미지 같이 선택할 수 있는 다이얼로그가 화면에 표시된다.
그것을 android 로 바꿔주면 메세지 박스가 하나 뜬다.
나는 이미 환경을 설정해놨기에, 따로 캡쳐화면을 보여주진 않았지만, 간단한 내용이다.
android SDK을 연동해달라는 이야기다.
그렇기때문에 예를 누르고, android SDK MANAGER의 경로로 가서 선택을 하여주면된다.
다음과 같이 SDK Manager경로를 지정해주면 된다.
이제 설정은 모두 되었다.
이제 간단한 예제를 선택하여 돌려보자
[File]->[Example]로 이동하면 다양한 예제들이 있고,
예제를 선택후 Run을 시키면 된다.
참고로 기본적으로 런 인디케이터를 누르면 가상 Device로 설정이 되어있다
그래서 실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분들은 Ctrl+Shift+R으로 런시키는 것이 편하다.
이제 프로세싱을 즐기는 일만 남았다^^
이제 다음주는 프로세싱 소스를 android 소스로 export 하여 사용하는 법과 라이브러리화해서 접근하는법
그리고 Intent를 통하여 간단한 어플을 개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